본문 바로가기

기존카테고리/하이브리드앱

[jQuery Mobile] $.mobile 객체

<!doctype html>

<html>

<head>

<meta charset="utf-8">
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, user-scalable=no">

<title>제이쿼리 모바일 연습</title>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http://code.jquery.com/mobile/1.4.5/jquery.mobile-1.4.5.min.css"/>

<script src="http://code.jquery.com/jquery.min.js"></script>
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
$(document).bind("mobileinit",function(){     

$.mobile.pageLoadErrorMessage = "페이지를 못찾겠다 꾀꼬리!!";

/*

$.extend($.mobile, {

//allowCrossDomainPages:true

defaultPageTransition : "slide",

pageLoadErrorMessage : "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!!",

pageLoadErrorMessageTheme : "b",

loadingMessage : "페이지 로딩중..."

});

*/

});

</script>

<script src="http://code.jquery.com/mobile/1.4.5/jquery.mobile-1.4.5.min.js"></script>

      <!-- jQuery mobile은 전체기능 $.mobile 객체에 담고 있다.

이 객체를 초기화 하기 위해서는 $.extend함수를 이용해서 JSON 데이터를 사용하여

초기화 할 수있다.

-- jQuery Mobile의 기본환경 설정 형식

$(document).live ("mobileinit", function(){

$.extend($.mobile, {

   속성:값,

   속성:값,

   ....

});

});


-- jQuery Mobile에서 사용한 초기화 속성의 종류

   . ajaxEnabled : 이 속성의 default 값은 true 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속성의 의미: ajax방식의 페이지 이동 사용 여부 지정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false로 지정하면 풀브라우징 방식을 이용하겠다.


               . allowCrossDomainPages : 이속성의 default 값은 false 이다.

        이속성의 의미 : ajax 방식의 페이지 이동을 사용할 경우에 다른 도메인에

위치한 페이지로의 이동을 지원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.

하이브리드앱 구성을 해서 서버측의 페이지로 이동할 경우에는 이값을

true로 지정해 주어야 함.

   . autoInitializePage : 이속성의 default 값은 true 이다.

이속성의 의미 : jQuery Mobile이  HTML DOM을 자동으로 변경할 지 여부를

결정한다. false로 설정이 된경우에는 페이지 초기화를 수동으로 해줘야한다.

수동으로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 

$.mobile.initializePage(); 메소드를 사용한다.

  

  . deaultDialogTransition : 이속성의 default 값은 "pop" 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속성의 의미 : Dialog를 띄울 때 적용되는 기본적인 애니메이션을 지정한다.


              . defaultPageTransition : 이속성의 default 값은 "fade" 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속성의 의미 : 페이지를 전환 할 때 적용되는 기본적인 애니메이션을 지정한다.   

  . loadingMessage : 이속성의 default 값은  "loading" 

이 속성의 의미 : 페이지 이동에 시간이 조금 걸릴 경우 표시되는 로딩 메시지를 지정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. loadingMessageTextVisible : 이 속성의 default 값은 "false" 이다.

이 속성의 의미: 페이지 이동 메시지를 보여줄 지를 결정한다.

false로 설정되면 로딩메시지 대신에 progressBar(원모양)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다.

  . loadingMessageTheme : 이 속성의 default 값은 "a" 이다.

이 속성의 의미: 로딩 메시지를 보여줄 레이아웃의 기본 테마를 지정한다.

  . pageLoadErrorMessage : 이 속성의 default 값은 "Error Loading Page"

이 속성의 의미 : 404에러가 발생한 경우 보여줄 에러 메시지를 지정한다.

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. pageLoadErrorMessageTheme : 이 속성의 default 값은 "a"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 속성의 의미 : 에러 메시지를 보여줄 레이아웃의 기본 테마를 지정한다.

      -->

</head>

<body>

<div data-role="page" id="page1">

<div data-role="header" data-position="fixed" id="header">

<h3>moblileinit</h3>

</div><!-- header  -->

<div role="main" class="ui-content">

메인 페이지

<a href="#sub" data-role="button">go to subpage</a>

<a href="no.html" data-role="button">go to errorPage</a>

</div><!-- main  -->

<div data-role="footer" data-position="fixed">

<h3>footer</h3>

</div><!-- footer  -->

</div><!-- page1 -->

<div data-role="page" id="sub">

<div data-role="header" data-position="fixed">

<h3>sub</h3>

</div>

<div role="main" class="ui-content">

서브페이지입니다..

</div>

</div>

</body>

</html>